# 월리 서평 : 완벽한 공부법 - 노력
본 책은 '고영성, 신영준'의 '완벽한 공부법'을 읽고 난 후, 본인의 생각을 정리하고자 작성한 서평입니다.
189p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여러 연구 결과를 보면, 엄청난 시간을 투자하지 않고 비범한 능력을 개발한 사람은 없다고 결론을 내려도 무방하다.
전문가, 혹은 프로페셔널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은 끊임없이 해왔다. 하지만 문제는 '노력하고 시간을 들이는 과정'에 대해서는 늘 부담스러웠고, 솔직하게 표현하면 하기 싫었다. 이 책에서는 10000시간의 법칙에 대해 반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만한 노력과 열정은 비범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한다. 나는 스스로에게 질문한다. 나는 얼만큼 노력하고 있는가?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에 만족하는가 아니면 진심을 다해 노력하는 것 자체에 만족하는가?
195p
꾸준히 노력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능력은 '자제력'이다.
전적으로 동감하는 부분이다. 노력해야겠다,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생각은 항상 갖는다. 하지만 자제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노력은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 과정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느낀다. 나는 집중하는 시간 가운데 찾아오는 '다른 행동으로의 유혹'에 쉽게 무너지는 편이다. 그래서 집중하는 동안 다른 것을 쳐다보지 않기 위한 '고립된 공간'을 많이 만드는 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자주 무너진다. 결국 자제력이 중요하다. 내가 현재 하고 있는 일 한가지에 최대한으로 집중하는 것. 그리고 주변에 있는 다른 일들에 대해 인내하고 절제하는 과정이 나에겐 정말로 필요하다.
199p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많이 노력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만약 제대로 된 방법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노력은 진짜 우리를 배신할 수 있다.
주변에 한 사람이 자신은 운동 하나를 하더라도 1년정도 강습을 받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나는 그런 성격은 못된다. 그래서 잘못된 방법임을 알아도 '즐기면 된다'는 주의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사실 공부도 같다고 본다. 잘하고 싶고, 전문가가 되고 싶고, 능력을 개발하고는 싶지만 그것을 위해 정상적인 학습의 시간을 갖는 것은 쉽지 않다. 아마 그 학습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아깝다고 느껴서일 것이다. 하지만 실제 드는 시간과 비용은 배가 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결국 처음 시작이 중요하다. 제대로 된 방향이 아니면 도착점까지 가는데 시간과 힘이 더 드는 것은 당연하다.
201p
의식적인 연습의 7가지 특징을 공부와 연계시키면 다음과 같다.
1. 일정 수준 이상 체계적으로 정립된 방법론으로 연습해야 한다.
2. 자신의 능력보다 조금 더 어려운 작업을 지속해서 해야 한다.
3.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로 연습한다.
4. 신중하고 계획적이다.
5. 기초를 충실하게 마스터해야 한다. 진도만 빼는 공부는 후에 기초 부족으로 힘들어질 수 있다. 기초 이론, 기초 문법 등 기본적인 것을 소홀하게 한다면 절대 전문가가 될 수 없다.
6. 심성 모형을 만들어 내는 한편 거기에 의존한다.
7. 피드백과 피드백에 따라 행동을 변경한다.
189p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여러 연구 결과를 보면, 엄청난 시간을 투자하지 않고 비범한 능력을 개발한 사람은 없다고 결론을 내려도 무방하다.
전문가, 혹은 프로페셔널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은 끊임없이 해왔다. 하지만 문제는 '노력하고 시간을 들이는 과정'에 대해서는 늘 부담스러웠고, 솔직하게 표현하면 하기 싫었다. 이 책에서는 10000시간의 법칙에 대해 반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만한 노력과 열정은 비범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한다. 나는 스스로에게 질문한다. 나는 얼만큼 노력하고 있는가?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에 만족하는가 아니면 진심을 다해 노력하는 것 자체에 만족하는가?
195p
꾸준히 노력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능력은 '자제력'이다.
전적으로 동감하는 부분이다. 노력해야겠다,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생각은 항상 갖는다. 하지만 자제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노력은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 과정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느낀다. 나는 집중하는 시간 가운데 찾아오는 '다른 행동으로의 유혹'에 쉽게 무너지는 편이다. 그래서 집중하는 동안 다른 것을 쳐다보지 않기 위한 '고립된 공간'을 많이 만드는 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자주 무너진다. 결국 자제력이 중요하다. 내가 현재 하고 있는 일 한가지에 최대한으로 집중하는 것. 그리고 주변에 있는 다른 일들에 대해 인내하고 절제하는 과정이 나에겐 정말로 필요하다.
199p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많이 노력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만약 제대로 된 방법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노력은 진짜 우리를 배신할 수 있다.
주변에 한 사람이 자신은 운동 하나를 하더라도 1년정도 강습을 받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나는 그런 성격은 못된다. 그래서 잘못된 방법임을 알아도 '즐기면 된다'는 주의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사실 공부도 같다고 본다. 잘하고 싶고, 전문가가 되고 싶고, 능력을 개발하고는 싶지만 그것을 위해 정상적인 학습의 시간을 갖는 것은 쉽지 않다. 아마 그 학습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아깝다고 느껴서일 것이다. 하지만 실제 드는 시간과 비용은 배가 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결국 처음 시작이 중요하다. 제대로 된 방향이 아니면 도착점까지 가는데 시간과 힘이 더 드는 것은 당연하다.
201p
의식적인 연습의 7가지 특징을 공부와 연계시키면 다음과 같다.
1. 일정 수준 이상 체계적으로 정립된 방법론으로 연습해야 한다.
2. 자신의 능력보다 조금 더 어려운 작업을 지속해서 해야 한다.
3.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로 연습한다.
4. 신중하고 계획적이다.
5. 기초를 충실하게 마스터해야 한다. 진도만 빼는 공부는 후에 기초 부족으로 힘들어질 수 있다. 기초 이론, 기초 문법 등 기본적인 것을 소홀하게 한다면 절대 전문가가 될 수 없다.
6. 심성 모형을 만들어 내는 한편 거기에 의존한다.
7. 피드백과 피드백에 따라 행동을 변경한다.
댓글
댓글 쓰기